• ▒ 사진교실방

[카메라] 비네팅(Vignetting) 현상 이란?

Grand 2009. 1. 31. 22:33

비네팅

 

 


  사진을 촬영하다 보면 촬영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외부적인 영향으로 원하지 않는 이미지를 얻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네팅(vignetting)도 그 가운데 하나인데 이번 강좌에서는 이 비네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네팅이란?

 

  사진을 촬영하다가 아래의 사진과 같이 이미지의 주변부가 검게 가려지는 현상을 한두 번 정도는 겪어 보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와 같이 주변부의 광량 저하로 이미지의 모서리나 외곽 부분이 어두워지거나 검게 가려지는 현상을 비네팅(Vignetting)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의도적으로 연출하기도 하지만 원하지 않는 경우에 계속 발생한다면 여간 속상한 일이 아닐 수 없지요.

 

2. 비네팅은 왜 생기는 걸까?

 

 이와 같은 현상은 흔히 두 가지 경우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로, 렌즈 자체가 비네팅을 갖게 되는 경우입니다. 렌즈를 통과한 빛은 원형의 상을 맺게 되는데, 이 상을 맺는 범위의 원을 이미지 서클이라고 합니다. 렌즈의 이미지 서클(Image Circle)의 지름이 촬영 화면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아서 모서리 부분에 상이 맺히지 않게 되어 비네팅이 생기게 됩니다.

 

이미지 서클을 크게 만들면 광량 감소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으나 렌즈의 구경을 늘여야 하고, 렌즈의 구경이 커지면 렌즈의 수차가 심해지므로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각종 컨버터나 필터 등의 악세사리를 장착했을 경우 렌즈를 가려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에 나타나는 비네팅이 이 경우에 해당되는데 주로 초점거리가 짧은 광각측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광각 쪽으로 갈수록 렌즈 중심부와 주변부와의 초점거리가 현저하게 차이가 나게 되어 비네팅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렌즈 후드를 너무 긴 것으로 사용하거나 렌즈의 화각 보다 좁은 후드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가장자리 부분이 가려지게 됩니다.

 

3. 비네팅을 줄이는 방법은?

 

 비네팅은 화각과 관련이 있습니다. 화각은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는데 광각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고 망원으로 갈수록 각도가 좁아지게 됩니다. 컨버터 장착 후 비네팅이 생겼을 시 렌즈의 줌을 망원으로 할수록 적어지다가 어느 지점에서부터 비네팅이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초점거리가 망원으로 갈수록 화각의 각도가 작아지다가 어느 초점거리에서부터는 컨버터에 간섭을 받지 않을 만큼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비네팅이 안보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렌즈의 화각보다 큰 구경의 컨버터나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시면 비네팅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또 후드를 화각에 맞는 것으로 사용하고 가능한 한 필터를 여러 개 겹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렌즈 자체의 문제일 경우에는 조리개를 줄여주는 것이 비네팅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조리개를 조임으로써 주변부와 중심부의 광량을 어느 정도 맞추어 주므로 비네팅을 줄일 수 있습니다.